❶ 지원대상
임신을 준비하는 모든 부부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예비부부와 사실혼 관계인 부부를 포함하며, 여성의 가임연령(15~49세, WHO 기준)이라면 지원을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. 또한 서울시는 자체사업을 시행 중이므로, 서울시에 거주하는 시민은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여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지원대상
- 임신을 준비하는 부부 (사실혼, 예비부부 포함)
- 여성의 가임연령(15~49세)에 해당하는 부부
서울시민은 별도로 운영되는 유사 사업이 있기 때문에, 서울 시민은 서울시 보건소에서 문의하여 지원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.
❷ 지원내용
이 사업은 가임력 검사비용을 지원하여, 임신 준비를 돕기 위한 중요한 검사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.
- 여성: 최대 13만 원 지원
- 남성: 최대 5만 원 지원
검사 항목은 여성의 난소기능검사(AMH 검사)와 부인과 초음파, 남성의 정액검사를 포함합니다. 이를 통해 난소기능, 자궁 및 난소 상태, 정액 상태 등을 확인하고, 잠재적인 난임 요소를 미리 파악할 수 있습니다.
- 여성 검사 항목:
- 난소기능검사(AMH)
- 부인과 초음파 (난소, 자궁 등)
- 남성 검사 항목:
- 정액검사(정자 정밀 형태 검사 포함)
검사비 지원은 1회로 한정되며, 검사에 필요한 진찰료와 추가 검진 비용 등 초과되는 금액은 개인이 부담해야 합니다.
❸ 신청방법
지원 신청은 보건소 방문 또는 e보건소 온라인 신청을 통해 가능합니다. 지원을 받기 위한 절차는 간단하며, 신청 후 검사의뢰서를 발급받고, 이후 검사 및 결과 상담을 받게 됩니다.
- 방문 신청:
-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방문하여 신청
- 신청 시, 배우자의 신청서와 동의서 등을 준비해야 하며, 대리 신청이 가능합니다.
- 단, 부부가 각각 다른 주소지에 거주하는 경우, 각자의 거주지 보건소에 별도로 신청해야 합니다.
- 온라인 신청:
- e보건소 웹사이트(www.e-health.go.kr)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
신청 절차:
- 검사비 지원 신청: 보건소 또는 e보건소에서 신청
- 검사의뢰서 발급: 지원 자격 확인 후 발급
- 검사 진행 및 결과 상담: 검사 후 3개월 이내
- 검사비 청구: 검사일로부터 3개월 이내 보건소나 e보건소에서 청구
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의 중요성
임신을 준비하는 부부에게 가임력 검사는 매우 중요한 첫걸음입니다. 이 검사를 통해 미리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, 임신과 출산에 대한 위험 요소를 파악하여 적절한 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가임력 검사비 지원을 통해 경제적인 부담을 덜고, 더 건강한 출산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.
서울시를 포함한 다양한 지역에서 제공하는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을 통해 부부는 가임력 검사를 부담 없이 받을 수 있으며, 이를 통해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한 준비를 더욱 철저하게 할 수 있습니다.